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퀀트킹 - 02. 경제지표 소개 (Feat. 백테스트 비교)
    퀀트 2022. 8. 25. 02:20
    728x90

    퀀트킹을 이용한 백테스트 관련 글은 이전 글을 참고

    https://eggdrop.tistory.com/12

     

    퀀트킹 - 01. 백테스트 수행하기

    01 개념소개 퀀트 (quant: a quantitative analyst): 수학적 및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재무 및 투자 관리를 하는 전문가 본 포스트에서 설명하고자하는 퀀트투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며, 특정

    eggdrop.tistory.com

     

    본 포스트에서는 퀀트투자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퀀트킹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지표중에서 경제지표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경제지표는 개별종목을 선택하는데 참고자료로 사용되기 보다는, 시장에 들어갈지 말지를 결정하는 전략 자체의 On/Off 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라고 볼 수 있다. 

     

    01. 백테스트 비교 기능

    경제지표가 퀀트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퀀트킹에서 제공하는 백테스트 비교 기능을 소개한다.

     

    백테스트 메뉴로 진입하면, 나의로직을 선택할 수 있다. 

     나의 로직에서 빈 슬롯을 선택하고, 이름을 작성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슬롯에 로직이 저장된다.  이후 밑에 있는 매매방식, 로직에서 사용할 지표를 선택 한 후 다시 저장하면 로직을 만들 수 있다. 

     

    이런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로직을 저장했다면, 두 로직의 수익률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음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1) 현재 셋팅된 기본로직과 ....을 비교

    현재 화면에 셋팅된 값과 오른쪽에서 선택한 로직과 비교를 수행(여기서는 단순  PER 전략이라는 이름의 로직과 비교를 수행함)

    나의 로직을 바꾸는 순간 화면에는 여러 파라미터들이 셋팅된다.

    로드된 파마리터의 예

    사용자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바꿀수도 있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변경한 파라미터가 나의 로직 자체에 저장은 안되지만 백테스트에는 반영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현재 저장된 기본로직과 ...을 비교

    현재 화면에 셋팅된 값과는 상관없이 해당 슬롯에 저장된 로직과 오른쪽에서 선택한 로직을 비교

     

    다시 비교로 돌아가서 비교 버튼을 클릭하면 두 로직의 수익률을 비교하는 새로운 창이 뜨게 된다. 

    비교창의 예

    다음 장에서 설명할 결과를 미리 보여준다. 기본로직과 비교로직의 차이에 대해 보여준다. 원금을 100으로 시작했고, 편입종목 수는 20개, 14년 투자했을 때의 결과이다. 또한 두 로직의 유사성은 0.7812 정도이다.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비슷한 로직으로 볼 수 있고, 0에 가까울 수록 독립적인 로직으로 볼 수 있다. 

     

    02. 경제 지표가 퀀트 전략에 미치는 영향 (eg. 수정일드갭)

     

    퀀트킹에서는 수정일드갭이라는 경제지표를 제공한다.  일드갭은 주식의 기대수익률 - 채권의 기대수익률로 구할 수 있다.  사실 주식의 기대수익률을 구하는 것은 어려운일이지만 간단하게 1/PER로 구하는 사람들이 있다.  채권의 기대수익률은 채권의 금리로 바로 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퀀트킹에서는 일드갭에서 채권의 기대수익률을 보정한 수정일드갭을 사용한다.

    수정일드갭 = 1년후 주식의 기대수익률 - (채권의 기대수익률 * 1.5)

     

    퀀트킹의 경제지표 메뉴에서도 확인가능하다.

     

    100% 맞는 것은 아니지만 수정일드갭이 낮은 시점에서 폭락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수있다. (예를 들어 2008년)

     

    꼭 수정일드갭이 아니더라도 이런한 경제 지표를 잘 활용하면 포트폴리오 전체에서 주식의 비중을 줄여 폭락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할지 모른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런 식으로 투자를 하라는 것이 아니라 경제 지표가 퀀트 전략에 영향을 줄 수 도 있으니 참고는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또한 퀀트킹에서 해당 지표들을 적용하여 백테스트 하는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단순하게 PBR, 분기PER 순위만 따져서 20개씩 분기별로 투자하는 전략(비교로직)을 만들어 보자.  또한 같은 전략인데, 수정일드갭이 1이상일 때만 투자를 하는 전략(기본로직)를 만들어보자.

     

    *PBR, PER은 나중에 다루도록 하자. 혹시 모르는 사람은 퀀트전략을 위한 종목별 지표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으면 좋겠다.

     

    비교로직의 설정값은 위와 같다. PER과 PBR의 순위가 높은 종목 20개를 추출한다.

     

    기본로직은 나머지 부분은 비교로직과 동일한데, 수정일드갭에 최소값(2) 조건을 걸었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수정일드갭이 2보다 낮으면 투자를 하지말라는 설정이다.

     

    이제 앞에서 다룬 전략 비교 기능을 통해 두 전략의 투자 결과를 비교해보자. (14년)

    MDD는 둘다 똑같지만, 연평균 수익률에서 수정일드갭을 고려한 기본로직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2008년 몇개월을 피해갔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것으로 경제 지표를 활용했을 때 퀀트 전략의 수익률이 더 좋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03. 퀀트킹에서 제공하는 경제지표 및 주요 경제 지표 설명

     

    주요 지표는 백테스트 창에서 오른쪽 지표 모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러 지표가 있지만 이번 포스트에서는 경제지표를 알아보자.

    경제지표를 클릭하면 퀀트킹에서 제공하는 모든 경제지표를 확인할 수 있고, 경제지표 앞에 있는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로직으로 추가된다. 위 지표들은 시장 공통으로 공유하는 지표이며, 개별 종목마다 달라지는 지표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자.

     

    퀀트킹에서 제공하는 지표들은 다음과 같다. 

    지표명 설명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코스피 시가총액(조)  
    코스닥 시가총액(조)  
    유가(WTI)  
    환율 매매기준의 미달러 환율
    경기선행지수 1)재고순환지표, 2)경제심리지수, 3)기계류내수출하지수(선박제외), 4)건설수주액,
    5)수출입물가비율, 6)코스피지수, 7)장단기금리차  등을 고려하여 경기를 예측하는 용도로 작성
    월간 수출액(천$)  
    월간 수입액(천$)  
    월간 수출액(조원)  
    월간 수입액(조원)  
    월간 순수출(조원) 월간수출액 - 월간수입액
    연환산수출액(조원)  
    연환산수입액(조원)  
    연환산무역규모(조원) 연환산수출액 + 연환산수입액
    연환산 순수출(조원) 연환산수출액 - 연환산수입액
    코스피시총/연환산무역규모  
    코스피연환산 순익(조원)  
    코스닥연환산 순익(조원)  
    코스피1년후 PER  
    코스피 PER  
    코스피 PBR  
    코스닥1년후 PER  
    코스닥 PER  
    코스피 PBR  
    국채3년물(%)  
    수정 일드갭(%) 1년후 주식의 기대수익률 - (채권의 기대수익률 * 1.5)
    고객예탁금(조원)  
    CMA잔고(조원)  
    국내 주식형펀드(조원)  
    해외 주식형펀드(조원)  
    코스피신용(조원)  
    코스닥신용(조원)  
    코스피신용비율(%)  
    코스닥신용비율(%)  
    본원통화(조원)  
    M1(조원) 현금 + 요구불예금 + 수시입출금식 예금 
    M2(조원) M1 + 2년미만 예금 + 펀드 + CMA
    LF(조원) M2 + 2년 이상 예금 + 보험계약 준비금 + 증권사예수금
    다우지수  
    상해종합주가  
    니케이지수  
    한국10년국채(%)  
    미국10년국채(%)  
    일본10년국채(%)  
    한국정책금리(%)  
    미국정책금리(%)  
    중국정책금리(%)  
    미국회사채BBB(%)  
    미국국채 3년물(%)  
    회사채3년AA(%)  
    CRB선물  
    금선물  
    원엔환율  
    미달러지수  
    경기선행지수(전년비)  
    경기선행지수(전월비)  
    미국 신용 스프레드 미국회사채BBB  - 미국국채3년물
    (M2*M1)/2(조원)  
    소비자물가상승률(%)  
    생산자물가상승률(%)  
    실질금리(%) 국채3년수익률 - 소비자물가상승률
    기업의 채산성(%) 소비자물가상승률 - 생산자물가상승률
    코스피1년후순익  
    코스닥1년후순익  
    한국 국채1년물(%)  
    미국 국채1년물(%)  
    한국 장단(기준금리) 금리차 국채10년수익률 - 기준금리
    한국 장단(1년물) 금리차 국채10년수익률 - 국채1년수익률
    미국 장단(기준금리) 금리차  
    미국 장단(1년물) 금리차  
    회사채3년 BBB-(%)  
    구리선물  
    납선물  
    니켈선물  
    옥수수선물  
    대두선물  
    설탕선물  
    코스피코스닥신용합산(조원)  
    코스피수익률(% 월간)  
    코스닥수익률(% 월간)  
    경기선행전략 유료구매 필요
    코스피추종전략 유료구매 필요

    퀀트킹은 다양한 경제지표를 제공한다. 자신의 전략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지표들을 찾아서 백테스트 해보자.

    728x90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트킹 - 01. 백테스트 수행하기  (0) 2022.08.20
Designed by Tistory.